매일 조금씩

최단경로 알고리즘(1) - 다익스트라 본문

알고리즘/** 개념 **

최단경로 알고리즘(1) - 다익스트라

mezo 2021. 5. 16. 17:30
728x90
반응형

최단경로 알고리즘은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다양한 문제 상황이 있다.

  1.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
  2. 한 지점에서 다른 모든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
  3. 모든 지점에서 다른 모든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

각 지점은 그래프에서 노드로 표현한다.

지점 간 연결된 도로는 그래프에서 간선으로 표현한다.

 

 

1.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 특정한 노드에서 출발하여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를 계산한다.
  • 다익스트라 최단 경로 알고리즘은 음의 간선이 없을 때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현실 세계의 도로(간선)은 음의 간선으로 표현되지 않음)
  • 다익스트라 최단 경로 알고리즘은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분류된다.
    매 상황에서 가장 비용이 적은 노드를 선택해 임의의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

 

알고리즘의 동작과정

  1. 출발 노드를 설정한다.
  2. 최단 거리 테이블을 초기화한다. (자기는 0으로 다른 모든노드는 으로 설정)
  3.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한다. (그리디 알고리즘)
  4. 해당 노드를 거쳐 다른 노드로 가는 비용을 계산하여 최단 거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5. 위 과정에서 3번과 4번을 반복한다.

알고리즘 동작 과정에서 최단 거리 테이블은 각 노드에 대한 현재까지의 최단 거리 정보를 가지고 있다.

처 리 과정에서 더 짧은 경로를 찾으면 '이제부터는 이 경로가 제일 짧은 경로야'라고 갱신한다.

 

알고리즘의 특징

  • 그리디 알고리즘 : 매 상황에서 방문하지 않은 가장 비용이 적은 노드를 선택해 임의의 과정을 반복한다.
  • 단계를 거치며 한 번 처리된 노드의 최단 거리는 고정되어 더 이상 바뀌지 않는다.
    (한단계당 하나의 노드에 대한 최단 거리를 확실히 찾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수행한 뒤에 테이블에 각 노드까지의 최단 거리 정보가 저장된다.
    완벽한 형태의 최단 경로를 구하려면 소스코드에 추가적인 기능을 더 넣어야 한다.

 

간단한 구현 방법

  • 단계마다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매 단계마다 1차원 테이블의 모든 원소를 확인(순차 탐색)한다.
#include <bits/stdc++.h>
#define INF 1e9 // 무한을 의미하는 값으로 10억을 설정

using namespace std;

// 노드의 개수(N), 간선의 개수(M), 시작 노드 번호(Start)
// 노드의 개수는 최대 100,000개라고 가정
int n, m, start;
// 각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에 대한 정보를 담는 배열
vector<pair<int, int> > graph[100001];
// 방문한 적이 있는지 체크하는 목적의 배열 만들기
bool visited[100001];
// 최단 거리 테이블 만들기
int d[100001];

//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가장 최단 거리가 짧은 노드의 번호를 반환
int getSmallestNode() {
    int min_value = INF;
    int index = 0; // 가장 최단 거리가 짧은 노드(인덱스)
    for (int i = 1; i <= n; i++) {
        if (d[i] < min_value && !visited[i]) {
            min_value = d[i];
            index = i;
        }
    }
    return index;
}

void dijkstra(int start) {
    // 시작 노드에 대해서 초기화
    d[start] = 0;
    visited[start] = true;
    for (int j = 0; j < graph[start].size(); j++) {
        d[graph[start][j].first] = graph[start][j].second;
    }
    // 시작 노드를 제외한 전체 n - 1개의 노드에 대해 반복
    for (int i = 0; i < n - 1; i++) {
        // 현재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꺼내서, 방문 처리
        int now = getSmallestNode();
        visited[now] = true;
        //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확인
        for (int j = 0; j < graph[now].size(); j++) {
            int cost = d[now] + graph[now][j].second;
            // 현재 노드를 거쳐서 다른 노드로 이동하는 거리가 더 짧은 경우
            if (cost < d[graph[now][j].first]) {
                d[graph[now][j].first] = cost;
            }
        }
    }
}

int main(void) {
    cin >> n >> m >> start;

    // 모든 간선 정보를 입력받기
    for (int i = 0; i < m; i++) {
        int a, b, c;
        cin >> a >> b >> c;
        // a번 노드에서 b번 노드로 가는 비용이 c라는 의미
        graph[a].push_back({b, c});
    }

    // 최단 거리 테이블을 모두 무한으로 초기화
    fill_n(d, 100001, INF);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수행
    dijkstra(start);

    // 모든 노드로 가기 위한 최단 거리를 출력
    for (int i = 1; i <= n; i++) {
        // 도달할 수 없는 경우, 무한(INFINITY)이라고 출력
        if (d[i] == INF) {
            cout << "INFINITY" << '\n';
        }
        // 도달할 수 있는 경우 거리를 출력
        else {
            cout << d[i] << '\n';
        }
    }
}

 

간단한 구현 방법 성능 분석

  • 총 \(O(V)\)번에 걸쳐서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매번 선형 탐색 해야한다.
  • 따라서 전체 시간 복잡도는 \(O(V^2)\) 이다.
  • 일반적으로 코딩 테스트의 최단 경로 문제에서 전체 노드의 개수가 5,000개 이하라면 이 코드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하지만 노드의 개수가 10,000개를 넘어가는 문제라면 어떻게 해야할까?

[우선 순위 큐(Priority Queue)]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삭제하는 자료구조이다.

예를 들어 여러개의 물건 데이터를 자료구조에 넣었다가 가치가 높은 물건 데이터부터 꺼내서 확인해야하는 경우에 우선순위 큐를 이용할 수 있다.

Python, C++, Java를 포함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표준 라이브러리 형태로 지원한다.

 

[힙(Heap)]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구조 중 하나이다.

최소 힙(Min Heap)최대 힙(Max Heap)이 있다.

다익스트라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포함해 다양한 알고리즘에서 사용된다.

 

 

개선된 구현 방법

  • 단계마다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힙(Heap) 자료구조를 이용한다.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 동작하는 기본원리는 동일하다.
    > 현재 가장 가까운 노드를 저장해 놓기 위해서 힙 자료구조를 추가적으로 이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 현재의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해야 하므로 최소 힙을 사 용한다.
#include <bits/stdc++.h>
#define INF 1e9 // 무한을 의미하는 값으로 10억을 설정

using namespace std;

// 노드의 개수(N), 간선의 개수(M), 시작 노드 번호(Start)
// 노드의 개수는 최대 100,000개라고 가정
int n, m, start;
// 각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에 대한 정보를 담는 배열
vector<pair<int, int> > graph[100001];
// 최단 거리 테이블 만들기
int d[100001];

void dijkstra(int start) {
    priority_queue<pair<int, int> > pq;
    // 시작 노드로 가기 위한 최단 경로는 0으로 설정하여, 큐에 삽입
    pq.push({0, start});
    d[start] = 0;
    while (!pq.empty()) { // 큐가 비어있지 않다면
        // 가장 최단 거리가 짧은 노드에 대한 정보 꺼내기
        int dist = -pq.top().first; // 현재 노드까지의 비용 
        int now = pq.top().second; // 현재 노드
        pq.pop();
        // 현재 노드가 이미 처리된 적이 있는 노드라면 무시
        if (d[now] < dist) continue;
        //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인접한 노드들을 확인
        for (int i = 0; i < graph[now].size(); i++) {
            int cost = dist + graph[now][i].second;
            // 현재 노드를 거쳐서, 다른 노드로 이동하는 거리가 더 짧은 경우
            if (cost < d[graph[now][i].first]) {
                d[graph[now][i].first] = cost;
                pq.push(make_pair(-cost, graph[now][i].first));
            }
        }
    }
}

int main(void) {
    cin >> n >> m >> start;

    // 모든 간선 정보를 입력받기
    for (int i = 0; i < m; i++) {
        int a, b, c;
        cin >> a >> b >> c;
        // a번 노드에서 b번 노드로 가는 비용이 c라는 의미
        graph[a].push_back({b, c});
    }

    // 최단 거리 테이블을 모두 무한으로 초기화
    fill(d, d + 100001, INF);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수행
    dijkstra(start);

    // 모든 노드로 가기 위한 최단 거리를 출력
    for (int i = 1; i <= n; i++) {
        // 도달할 수 없는 경우, 무한(INFINITY)이라고 출력
        if (d[i] == INF) {
            cout << "INFINITY" << '\n';
        }
        // 도달할 수 있는 경우 거리를 출력
        else {
            cout << d[i] << '\n';
        }
    }
}

visited 배열을 사용하지 않는다. 

우선순위 큐에 들어가있는 노드를 꺼내서 최단거리가 기록된 테이블의 해당 노드 값과 비교해서 

테이블의 값보다 더 크다면 이미 처리된적 있는 것이므로 넘어간다.

테이블의 값은 항상 최솟값을 담고 초기값은 무한대이기때문에 이경우가 성립한다.

 

 

개선된 구현 방법 성능 분석

  • 힙 자료구조를 이용하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ElogV)\)이다.
  • 노드를 하나씩 꺼내 검사하는 반복문(while문)은 노드의 개수 V 이상의 횟수로는 처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현재 우선순위 큐에서 꺼낸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들을 확인하는 총횟수는 최대 간선의 개수(E)만큼 연산이 수행될 수 있다.
  • 직관적으로 전체 과정은 E개의 원소를 우선순위 큐에 넣었다가 모두 빼내는 연산과 매우 유사하다.
    시간 복잡도를 \(O(ElogE)\)로 판단할 수 있다.
    중복 간선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O(ElogV)\)로 정리할 수 있다.
    \(O(ElogE)\) → \(O(ElogV^2)\) →  \(O(2ElogV)\) →  \(O(ElogV)\)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