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SS
- 스택
- 힙덤프
- priority_queue
- set
- javascript
- map
- union_find
- List
- GC로그수집
- 큐
- math
- 스프링부트
- JPA
- html
- scanner
- NIO
- deque
- string
- 리소스모니터링
- dfs
- sql
- Java
- Properties
- spring boot
- Calendar
- BFS
- date
- Union-find
- alter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02)
매일 조금씩

이진트리 법칙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제이다. 가장먼저 경우의 수에 따른 작은 부분에 대한 문제를 생각했다. 한 단계의 트리만 생각했을 때,1)left는 root보다 작아야 한다.right는 root보다 커야 한다. 다만, 한단계 위의 root 까지도 생각해야한다.2)root가 left 였다면,left 는 root 보다 작아야 한다.right는 root보다 크고 root의 root보단 작아야한다. 3)root 가 right 였다면,left는 root보다 작고, root의 root보단 커야한다.right는 root보다 커야한다. 이를 기반으로 재귀식을 짜면,boolean 메서드명(노드, 왼쪽 제한 값, 오른쪽 제한 값) 따라서 재귀로 코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 * Definition..

[전체 목차]IoC 컨테이너와 빈스프링 IoC 컨테이너와 빈ApplicationContext와 다양한 빈 설정 방법@Autowired@Component와 컴포넌트 스캔컴포넌트 스캔 주요 기능@Component동작 원리function을 사용한 빈 등록Resource / Validation데이터 바인딩SpEL스프링 AOPNull-Safety 1. 컴포넌트 스캔 주요 기능@ComponentScan 은 spring 3.1부터 도입이 되었고,가장 중요한 속성이 basePackage()이다.이 basePackage()는 문자열을 받기 때문에 타입 세이프하지 않아서타입 세이프 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는 basePackageClasses()라는 속성이 또 있다.이 속성은 베이스가 되는 패키지를 말하는데 이는 @C..

[전체 목차]IoC 컨테이너와 빈스프링 IoC 컨테이너와 빈ApplicationContext와 다양한 빈 설정 방법@Autowired@Autowired사용할 수 있는 위치주입할 빈에 따른 경우의 수같은 타입의 빈이 여러개 일 때동작 원리Resource / Validation데이터 바인딩SpEL스프링 AOPNull-Safety 1. @Autowired: 필요한 의존 객체의 "타입"에 해당하는 빈을 찾아 주입한다.기본값은 true (못 찾으면 애플리케이션 구동 실패) 2. 사용할 수 있는 위치1) 생성자 (스프링 4.3부터는 @Autowired 생략 가능)@Service 클래스의 생성자에 @Autowired를 안붙여도 Spring 4.3 부터는 의존성 주입을 해준다.@Repository 가 붙어야할 리파..
[전체 목차]IoC 컨테이너와 빈스프링 IoC 컨테이너와 빈ApplicationContext와 다양한 빈 설정 방법 스프링 IoC 컨테이너의 역할ApplicationContext빈 설정컴포넌트 스캔빈 설정 방법의 변천사Resource / Validation데이터 바인딩SpEL스프링 AOPNull-Safety spring-boot-stater-web 의존성만 넣어 두면 우리가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필요한 의존성들이 대부분 들어온다.spring core, spring context, spring beans 이렇게 세개가 주요한 의존성들... 1. 스프링 IoC 컨테이너의 역할빈 인스턴스 생성의존 관계 설정빈 제공 2.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의 확장판. 빈 관리..
[목차]Sevlet이란?Spring에선 어떻게 쓰일까?@RestController와 @Controller의 차이점 1. Servlet 이란?Servlet은 Java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서버 측 프로그램으로,주로 HTTP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Point1. 서버 측에서 동작Servlet은 웹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실행되며,클라이언트(주로 웹 브라우저)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받아 처리한 뒤,HTML이나 JSON 등의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을 한다. Point2. HTTP 프로토콜 지원Servlet은 HTTP 프로토콜을 지원하므로, GET, POST, PUT, DELETE 등 다양한 HTTP 메서드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
Java EE와 Spring Framework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설계 철학, 기능 제공 방식, 유연성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Spring framework는 2003년 첫 등장 시,Java EE 표준과 싸운는 것처럼 보여 어그로를 상당히 끌었지만,실제론 JEE 스팩을 구현(+알파)한 모음체이다. Spring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어노테이션들:// Spring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